◇ 경매 공부

부동산 경매 낙찰 금액 확인하는 방법

둥둥파파님 2025. 5. 10. 19:34
728x90
반응형

 

부동산 경매 공부 시작하신 분들,
한 번쯤 이런 궁금증 생기셨을 거예요.

“저 물건, 최종적으로 얼마에 낙찰됐지?”

저도 처음엔 그게 제일 궁금하더라고요.
실제로 누군가 얼마를 썼고, 얼마나 경쟁이 있었는지
딱 보면 감이 오거든요.

오늘은 제가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낙찰 금액 확인 방법 3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 대법원 경매정보 사이트 이용 (가장 정확)

제일 기본이면서도 정확한 방법입니다.
저는 지금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어요.

법원 경매 검색

이렇게 확인하시면 됩니다.
>사이트 접속
>상단 메뉴 ‘사건검색’ 클릭
3. 주소나 사건번호 입력 (예: 2024 타경 12345)
4. 물건 클릭 → ‘사건내역’ 탭 확인

여기서 아래 정보가 다 나옵니다.

낙찰가

입찰자 수

낙찰자 이름(일부만 공개)

감정가 대비 낙찰률

예전엔 저도 헷갈렸는데요,
몇 번 해보니까 금방 익숙해지더라고요.

 


 2. 네이버 부동산 경매 메뉴


요즘은 네이버에서도
경매 결과를 간단하게 보여주더라고요.

네이버에서 “네이버 부동산 경매” 검색

정확도는 대법원 사이트보단 조금 떨어지지만,
쉽게 훑어보기엔 괜찮습니다.

특히 모바일로 자주 보는 분들은
여기서 감정가와 낙찰가 비교 정도만 봐도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어요.

 


3. 민간 경매 정보 사이트(유료 포함)


경매를 조금 더 진지하게 공부하신다면
‘지지옥션’, ‘스피드옥션’, ‘굿옥션’ 같은
유료 정보 사이트도 고려해볼만 합니다.

저는 한때 지지옥션을 유료로 사용했었는데요,
권리분석, 입찰 분석, 주변 시세 비교까지 한 번에 볼 수 있어서
초보자에게는 도움이 많이 됩니다.

다만, 유료이니 만큼
처음엔 무료 대법원 사이트로 충분히 연습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제 경험을 더하자면…
낙찰가 확인하는 건 단순히 호기심 문제가 아니라,
입찰 전략 수립의 핵심입니다.

제가 한 번은
비슷한 물건의 과거 낙찰가를 기준으로 입찰가를 정했는데,
경쟁률까지 비슷하게 흘러가더라고요.

그 때 딱 50만원 차이로 낙찰받았는데,
그게 다 낙찰 정보 덕분이었습니다.


마무리하며
경매는 정보가 곧 무기입니다.
공개된 정보라도 꾸준히 들여다보는 사람이
한 발 앞서게 되어 있더라고요.

낙찰 금액 확인,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 해보면 금방 감 잡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